티스토리 뷰
1. 담도암의 진단
증상과 함께 혈액 검사, 영상 검사, 내시경 검사 등을 통해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병기를 평가한다.
1) 증상
종양의 발생 위치와 침범 정도에 따라 다르다.
초기 단계 : 대부분의 환자에게서 증상이 없다.
종양으로 인해 담도가 막히면 통증이 없는 황달과 진한 갈색의 소변이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이다.
그 밖에 피부 가려움증, 복통과 체중 감소, 발열, 회색변, 소화장애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증상만으로는 담도암을 진단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2) 혈액 검사
황달 또는 우상복부 통증이 있는 환자의 경우
1) AST(아스파테이트아미노기 전달효소)
2) ALT(알라닌아미노기 전달효소)
3) Bil(빌리루빈)
분석을 통해 담즙정체가 있는지 확인한다.
AST와 ALT 는 처음에 정상일 수 있으나
만성 담도폐쇄의 경우 종종 간기능 장애와 간세포 손상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프로트롬빈 시간(PT)이 길어질 수 있다.
CA 19-9 나 CEA는 담관암 환자에서 증가되기도 하지만 진단적이지는 않다.
3) 영상진단
영상 검사는 진단 및 치료 계획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장 적합한 수술 대상자를 선택하고 선택된 대상자의 수술 유형 및 범위를 결정하는 것이 영상 검사의 주요 목표이다.
복부 초음파, 복부 CT, MRCP, 초음파 내시경(EUS), ERCP(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 PET - CT 등의 영상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담도암에 대해 진단 및 병기설정을 시행할 수 있다.
4) 내시경을 이용한 진단
간외담관암의 경우 EUS(초음파 내시경) 또는 ERCP(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가 진단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담도암의 폐쇄 부위를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도 있고 조직 검사를 하며
ERCP의 경우 진단과 동시에 보존적 치료 목적의 스텐트 삽입술 등을 시도할 수 있다.
2. 담도암의 치료
1) 수술 치료
2) 항암 치료
(1)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
5-FU 또는 gemcitabine을 이용한 항암 치료, 임상 시험 등록 또는 보존적 치료를 추천한다.
림프절 전이 혹은 수술 절단면 종양침범 양성인 환자에서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이 임상적 이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gemcitabine, oxaliplatin 혹은 capecitabine을 이용한 전향적 임상 연구의 결과들이 발표되었다.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으로는 capecitabine을 추천하고 있다.
(2) 완화 항암화학요법
gemcitabine과 cisplatin 병합요법(GP)이 gemcitabine 단독요법에 비해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있다.
그래서 현재
GP의 복합 항암 요법이 절제 불가능한 진행성 담도암의 1차 치료로 표준항암요법이 우선적으로 추천되고 있다.
First line regimen(첫번째) | secind line regimen(두번째) |
[가장 추천] - Gemcitabien + cisplatin [그 다음] - 5-FU + oxaliplatin - 5-FU + cisplatin - capecitabine + cisplatin - capecitabine + oxaliplatin - gemcitabine + albumin-bound paclitaxel [ 단독투여 ] - 5-FU - capecitabine - gemcitabine |
[가장 추천] - FOLFOX [그 다음] - FOLFIRI - regorafenib |
(3) 표적 치료 및 면역항암제
돌연변이의 빈도는 종양 발생 위치
즉, 간내담도암, 간외담도암, 담낭암에 따라 다르다.
현재 IDH1 억제제와 FGFR 억제제가 각각 변이가 있는 담도암 환자에만 적용하는 임상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유망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경구용 infigratinib : FGFR2 변이가 있는 환자에게 상당히 유용한 치료가 될 가능성이 있다.
3. 결론(정리)
- 가급적 조기에 발견하여 수술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 수술 후에 보조항암화학요법으로는 capecitabine의 사용을 우선 고려할 수 있다.
- 암이 진행되어 수술이 불가능할 경우가 많은데 이때는 gemcitabine과 cisplatin을 이용한 병합항암화학요법을 시행
또는, 1차 항암치료 후 계속 담도암이 진행하는 경우 전신적인 상태를 고려하여
FOLFOX 등 적극적인 2차 항암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좋다.
출처 : 담도암의 진단과 치료의 최신 지견, 윤재훈, 대한췌담도학회지, 2022; v.27, no.1, pp.40 - 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