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ICD란?
ICD(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는 삽입형 제세동기로
급사 예방에 가장 확실한 방법으로 심부전 등 구조적 심장질환에 의한 급사의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
삽입 시 사망률을 감소시킨다.
예방효과는 매우 높고 신뢰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사망률을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심근경색 환자에서 삽입형 제세동기(ICD)삽입의 적응증
(1) 급성 심근경색 48시간 이후
- 가역적인 원인에 의한 것이 아닌 심실세동 또는 혈역동학적으로 불안정한 심실빈맥이 발생한 경우
- 재발성 지속성 심실빈맥이 발생한 경우
(2) 심근경색 발생 후 40일 경과한 허혈성 심부전으로 적절한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1년이상 생존이 예상되는 경우
삽입형 제세동기(ICD) 삽입 환자의 관리
- 보통 3개월 간격으로 모니터링 시행
- 쇼크 및 중요한 사건 발생 시 심전도를 기록할 수 있으며, 이를 검토하는 것은 ICD 쇼크와 연관된 부정맥을 진단하고
불필요한 치료를 배제하기 위해 중요
✔ 합병증
- 빠른 심실상성 빈맥
- ICD 유도 골절의 결과로 생긴 전기적 잡음에 반응하여 불필요한 ATP 혹은 쇼크의 전달
- 감염은 대략 1% 환자에서 발생
728x90
반응형